목차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신청 방법
고위험 임신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상당한 주의와 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다행히 정부에서는 이러한 고위험 임산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드리고 건강한 출산을 지원하기 위해 의료비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5년을 기준으로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의 내용과 신청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정확한 정보 확인을 통해 지원 혜택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은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임산부에게 제공됩니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진단명과 입원 치료 여부입니다.
19대 고위험 임신 질환 진단
정부가 지정한 19대 고위험 임신 질환으로 진단받고, 해당 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경우가 지원 대상입니다. 19대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기진통 (Preterm labor, O60)
- 분만 관련 출혈 (Hemorrhage related to delivery, O67, O72)
- 중증 임신중독증 (Severe pre-eclampsia, O14.1, O14.2, O15)
- 양막의 조기 파열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O42)
- 태반 조기 박리 (Abruptio placentae, O45)
- 전치태반 (Placenta previa, O44)
- 절박유산 (Threatened abortion, O20.0)
- 양수과다증 (Polyhydramnios, O40)
- 양수과소증 (Oligohydramnios, O41.0)
- 분만 전 출혈 (Antepartum hemorrhage, O46)
- 자궁경부무력증 (Cervical incompetence, O34.3, N88.3)
- 고혈압 (Hypertension complicating pregnancy, O10, O11, O13, O14, O16)
- 다태임신 (Multiple gestation, O30)
- 당뇨병 (Diabetes mellitus in pregnancy, O24)
- 대사 장애를 동반한 임신 과다 구토 (Hyperemesis gravidarum with metabolic disturbance, O21.1)
- 신질환 (Renal disease complicating pregnancy, N10-N16, N18, N19 associated with O99.0)
- 심부전 (Heart failure complicating pregnancy, I50 associated with O99.4)
- 자궁 내 성장 제한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O36.5)
- 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 질환 (Diseases of the uterus and adnexa complicating pregnancy, O23.5, O34, O99.8)
질병명과 해당 질병코드(예: O60)가 명시된 진단서가 필요하며, '임상적 추정' 진단이라도 질병명과 코드가 포함되면 인정될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 폐지!
주목할 만한 점은, 2024년부터 가구 소득 기준이 전면 폐지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전에는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했지만, 이제는 소득과 관계없이 위 19대 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를 받았다면 누구나 지원을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더 많은 고위험 임산부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필요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변화입니다.
지원 대상 상세 확인
반드시 '입원 치료'를 받은 경우에 한해 지원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동일한 질환이라도 통원 치료만 받은 경우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지원 신청 전 본인의 치료 내역이 입원 치료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비용을 얼마나 지원받나요?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면 입원 치료 기간 동안 발생한 의료비 중 일부를 지원받게 됩니다. 지원 범위와 금액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원 범위 상세 안내
고위험 임산부 입원 치료비 중,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항목의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 에 해당하는 금액의 90% 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지원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찰료
- 투약 및 조제료
- 주사료
- 처치 및 수술료
- 검사료
- 전혈 및 혈액성분제제료 등
즉, 건강보험 적용 후에도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급여 비용과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비용의 상당 부분을 환급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고액의 의료비가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임신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지원 제외 항목
모든 비용이 지원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항목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니 유의해야 합니다.
- 상급병실료 차액 (병실 입원료)
- 환자 특식 비용
따라서, 총 병원비에서 위 항목을 제외한 금액의 90%가 실제 지원금액이 됩니다.
지원 상한액 확인 필요
정부 지원 사업의 특성상 연간 지원 총액에 상한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상한액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신청 시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여 당해 연도의 지원 상한액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요?
지원 자격을 갖추었다면 정해진 기간 내에 필요한 서류를 구비하여 신청해야 합니다. 절차를 정확히 숙지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청 기간: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
가장 중요한 것은 신청 기간 입니다! 분만일(출산일, 사산일 포함) 로부터 반드시 6개월 이내 에 신청해야 합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안타깝게도 지원을 받을 수 없으니, 출산 후 가급적 빨리 신청 준비를 서두르는 것이 좋습니다. 정말 중요한 부분이니 꼭 기억하세요!
신청 방법: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편하신 방법을 선택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 방문 신청: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 온라인 신청:
-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www.e-health.go.kr)
- 아이마중 앱 (모바일)
온라인 신청 시에는 공동인증서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방문 신청 시에는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필수 구비 서류 목록
신청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꼼꼼히 확인하고 누락 없이 준비해야 합니다.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신청서 1부 (개인정보제공동의서 포함, 보건소 비치 또는 온라인 다운로드)
- 의사 진단서 1부 (질병명 및 질병코드 반드시 포함)
- 입·퇴원 확인서 각 1부 (입원 횟수별로 제출, 단 진단서에 입·퇴원 기록 모두 기재 시 생략 가능)
- 진료비 영수증 각 1부 (입원 횟수별)
- 진료비 세부 내역서 각 1부 (입원 횟수별)
- 주민등록등본 1부 (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생략 가능 )
- 지원금 입금 계좌 통장 사본 1부 (반드시 지원대상자 본인 명의 계좌)
- 신청인 신분증 (본인 확인용, 방문 시 지참)
추가 서류: 해당되는 경우 준비하세요
상황에 따라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출생보고서 또는 출생증명서 1부: 주민등록등본으로 출생 확인이 불가한 경우
- 사산 증명서 1부: 사산한 경우 (의사 진단서로 대체 가능)
- 위임장, 위임자(산모) 신분증 사본, 대리인 신분증: 대리 신청 시
- 가족관계증명서: 필요시 요청될 수 있음
- 건강보험증 사본 및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생략 가능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은 관련 증명서로 대체 가능)
서류 준비에 어려움이 있다면 미리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여 정확히 안내받는 것이 좋습니다.
궁금한 점은 어디에 문의하나요?
지원 사업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나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다음 기관에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관할 보건소 문의
신청 접수 및 구체적인 서류 안내, 진행 상황 확인 등 가장 직접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입니다. 각 지역 보건소의 연락처는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상담센터
사업 전반에 대한 정책적인 문의나 일반적인 상담은 보건복지상담센터 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전화번호: 국번 없이 129
고위험 임신은 많은 어려움을 동반하지만, 정부의 의료비 지원 사업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습니다. 본인이 지원 대상에 해당되는지 꼼꼼히 확인하고, 신청 기간 내에 필요한 서류를 잘 준비하여 꼭 지원 혜택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건강한 출산과 산모의 건강 회복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